상세보기
테스트코리아 TDS 억울증검사(TESTKOREA Computer Scoring TSFIA Depr ession Scale for Adolescents, TDS)는 청소년을위한 우울증검사로서 우울증의 전단계인 억울증의 정도를 측정,진단하기위한 검사입니다. 본 검사를 통해 청소년이 현재 심리적, 정신적으로 어느정도나 우울증을 받고있는가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측정,진단할 수 있습니다. 본 억울증검사는 국내외 다양한 우울증검사의 관련기준등이 폭넓게 적용되었습니다. 우울증적인 증상이 심할수록, 여러 의료기관을 방문한다거나 설명되지 않는 여러 증상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때로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눈에 띄는 체중 증가나 감소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와함게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못하는 수면장애와 몸의 전신에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본 검사는 무엇보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우울증의 전단계인 억울증의 정도를 측정,진단합니다. 특히, 빠른 시간내에 억울증의 정도를 측정,진단하고자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일정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서 우울증의 변화도를 측정,진단하기위한 용도로도 유용합니다. 본 검사를 통해 현재 억울증의 정도를 진단할 수 있으며, 정신건강에따른 생활전반을 개선하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본 검사는 개인용과 집단용으로 모두 이용가능하며, 상담현장에서 간편하게 억울증의 정도를 파악하기위한 진단도구로서도 활용가능합니다. 본 검사에서 높은 수치로 측정,진단된 상태에서, 일상 생활 유지에도 어려움을 겪는다면, 담당의료진과의 1:1의 더욱 세밀한 진단,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코리아 TDS 억울증검사(TESTKOREA Computer Scoring TSFIA Depression Scale for Adolescents, TDS)는 청소년대상의 우울증검사로서, 우울증의 전단계인 억울증 정도를 측정,진단하기위한 검사입니다. 본 검사는 듀크대학의 정신의학자 윌리엄 W.K 융(William W.K. Zung MD,1929-1992)에 의해 1965년에 처음 발표된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의 관련이론과 진단기준등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억울증 정도를 측정,진단하기위해 개발되어졌습니다. 본 검사의 진단기준은 국내외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BDI, CESD, PHQ0, QUID, CUDOS등의 우울증 관련 검사의 관련기준등이 폭넓게 참고되었습니다. 본 TDS 억울증검사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만13세이상부터 만17세까지의 남녀 173명을 대상으로 신뢰도,타당도등이 측정되었으며, 문항내적신뢰도상의 크론바흐 알파계수(Cronbach a)는 .739으로 신뢰도는 보통인 것으로 측정되었습니다. 본 검사는 그러나 자가진단식의 우울증검사의 특성상 우울증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증상에 대한 고려가 충분치않으며, 검사 환경이나 질환등에따른 우울증의 유병율과 임상적 특성이 달라지는데비해 이에 대한 고려가 충분치 않습니다. 또한 성장기의 청소년이라는 연령적 특성상 진단결과의 의미를 지나치게 확대해석하는 것은 피해야하며, 중요한 의미로서의 참고자료로만 활용되어야 합니다. 우울증에대한 보다 세밀한 진단결과를 위해서는 테스트코리아내의 다양한 우울증 검사들을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문항 |
신뢰도 |
측정내용 |
|
20 |
.739 |
억우울증의 측정,진단 |
결과표안내
테스트코리아 TDS 억울증검사(TESTKOREA Computer Scoring TSFIA Depression Scale for Adolescents, TDS)는 청소년을 대상으로하는 억울증검사로서 진단결과표의 첫 파트에는 원점수(RS)와 백분위(C%le), 진단영역(RG)등을 통해 현재 억울증의 정도가 어느정도인지를 수치적으로 제공됩니다. 본검사결과표에서의 그래프는 동일연령대의 표본분포로부터 우울증의 전단계라 할 수 있는 억울증적 경향에대한 정도를 표본분포와의 상대적인 위치를통해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그래프는 또한 억울증적 경향의 정도를 크게 6단계로 각영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습니다. 두번째파트에서는 본 검사에대한 영역별 진단타입(Classification for type)과 이에따른 타입별 진단해설, 청소년의 억울증적 경향에대한 기본해설, 억울증과 우울증에대한 간략한 카운슬링등이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