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본인이 어느 분야에 얼마나 흥미를 갖고 있는가는 매우 중요하다. 그것은 사람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할 때, 더 즐겁게 일하며, 심리적인 만족감도 더 높기 때문이다. 좋아하는 일을 할경우, 더욱 즐거운 마음으로 일할 수 있어, 결국 그 일을 더 잘 할 수 있게되며, 보다 빠른 직업적 성공도 이룰 수 있도록 해준다. 본 테스트코리아 그림카드식 직업흥미진단검사(TESTKOREA Computer Scoring Pictoria Vocational Interest Inventory,TPVII-S)는 이러한 직업흥미와 관련하여 전세계적으로 가장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홀랜드의 개인환경간의 적합성 모형이론을 이론적인 배경으로한다. 특히, 본 검사는 108장의 그림카드로만 이루어져, 피험자가 현재 어떤 분야에 어느정도의 흥미를 갖고 있으며, 내적으로 어떤 직업적 활동을 선호하는지등을 그림카드로 세밀하게 측정,진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검사는 언어적인 검사방식에 불편감을 갖고 있는 경우이거나 무의식적인 내적흥미요소를 보다 실실적으로 측정,진단하고자할때 유용하다. 본 검사는 또한 그림카드를 이용한 흥미로운 진단방식으로인해 여러 상담현장에서 심리전문가와 피험자간의 라포를 형성할때도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와함께 글을 읽기 어려운 경우에도 직업흥미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검사는 개인용과 집단용으로 모두 이용가능 하다. 상담현장에서도 직업흥미정도를 직관적으로 측정,진단하고자할때도 유용한 진단도구로서 활용가능하다.
본 테스트코리아 그림카드식 직업흥미진단검사(TESTKOREA Computer Scoring Pictoria Vocational Interest Inventory,TPVII-S)는 홀랜드의 개인환경간의 적합성 모형이론등을 이론적배경으로하여 피험자의 직업흥미의 정도를 간편하면서도 직관적으로 측정,진단하기위한 검사이다. 본 검사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만18세이상의 성인남녀 258명을 대상으로 신뢰도,타당도등이 측정되어 표준화되었다. 본 검사의 문항내적신뢰도상의 크론바흐 알파계수(Cronbach α)는 .80~.91 로서 직업흥미검사로서의 신뢰도가 높은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모집단의 표집크기도 200인이상으로 요인분석 가능기준(Crockner & Algina,1986)에 부합하고 있다. 특히, 본 검사는 비언어적인 그림카드로만 이루어져 있음으로인해, 언어적인 검사방식에서 오는 편차나 오류를 최소화하고 있으며, 보다 흥미롭게 직업흥미에대한 6가지 기본적인 흥미유형별로 세부적인 측정,진단이 가능하다. 본 검사는 피험자의 흥미분야와 선호하는 직업적 활동을 138가지로 세분화한 대표 직업별 개별진단결과표도 함께 제공된다. * 본 검사는 상담, 취업, 진학등을위한 중요한 의미의 진단도구, 참고자료등으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으며, 기업에서도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심리검사의 특성상 진단결과의 의미를 지나치게 확대해석하는 것은 피하여야하며, 진단결과는 중요한 의미의 참고자료로서 활용되어야한다.
|
문항 |
신뢰도 |
측정내용 |
|
36 |
.80~.91 |
직업흥미측정,진단 |
결과표안내
본 테스트코리아 그림카드식 직업흥미진단검사(TESTKOREA Computer Scoring Pictoria Vocational Interest Inventory,TPVII-S)의 진단결과표는 20가지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결과표는 기본적으로 표준점수(T점수)를 기반으로하며, 6가지 기본흥미요인에대한 종합진단결과표와 하위요인별 세부적인 개별진단결과표, 진단해설등이 제공된다. 본 검사는 홀랜드의 직업이론등에 기초한 138가지의 개별직업별 세부적인 진단결과표를 제공하며, 조합타입에따른 직업흥미에 적합한 세분적인 직업군, 상세한 진단해설등을 기본제공한다. 본 검사의 결과표는 또한 흥미패턴결과표에 따라 직업흥미에대한 일관성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검사의 결과표로부터 직업흥미에따른 다양한 정보를 통해 진로나 직업선택시에 유용한의미의 참고자료로서도 활용되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