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테스트코리아 그림예술판단능력검사(TESTKOREA'S Computer Scoring Esthetic Judgement Ability Test, TEJAT)는 그림에대한 예술적인 판단능력이 실제적으로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진단하기위한 적성검사이다. 본 검사는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편집디자이너, 컴퓨터그래픽 아티스트, 3D 그래픽 아티스트, 조각가, 순수미술가, 사진가, 큐레이터, 그림예술분야의 비평가등 그림에대한 예술적 판단능력을 필요로하는 분야에대해 적성능력과 이로부터의 성공가능성을 측정,진단하기위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검사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만10세이상부터 15세까지 211명을 대상으로 신뢰도,타당도등이 측정되어 표준화되었다. 본 검사의 문항내적신뢰도상의 크론바흐 알파계수(Cronbach α)는 .78으로 신뢰도는 보통수준이며, 모집단의 표집크기는 200인이상으로 요인분석 가능기준(Crockner & Algina,1986)에 부합한다. 본 검사의 진단결과는 중요한 의미의 참고자료로서만 활용되어야한다. 본 검사는 집단용과 개인용으로 사용가능하며, 다양한 상담현장, 예술관련분야에대한 진로/취업상담등에서의 효과적인 진단도구로서도 사용가능하다.
|
문항 |
신뢰도 |
측정내용 |
|
26 |
.78 |
그림에술판단능력의 측정,진단 |
결과표안내
테스트코리아 그림예술판단능력검사(TESTKOREA'S Computer Scoring Esthetic Judgement Ability Test, TEJAT)의 진단결과표는 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단결과표의 첫 파트에는 원점수(RS)와 백분위(C%le), 진단영역(RG)등이 제공된다. 진단그래프는 동일연령대의 표본분포로부터 그림예술판단능력에따른 정도를 표본으로부터의 상대적인 위치로서 표시하여줌으로서 적성능력의 높고 낮음의 정도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결과표상의 그래프는 또한 해당 능력의 정도를 크게 6단계로 각영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다. 두번째파트에서는 본 검사에대한 영역별 진단타입(Classification for type)과 이에따른 타입별 진단해설, 기본해설, 이에대한 간략한 카운슬링등이 함께 제공된다.